밀크하우스  Milk house

양한 듯 보이지만 알고 보면  평이함의 연속인  다가구주택 단지에 건축주는 동네에 유쾌한 이미지를 가져다 줄 수 있는 아이템에 대해 고민을 했었다. 그리고 이 곳에 모여 사는 이들 모두가 행복하며 쾌적한 삶을 살 수 있는 주거공간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말해주었다.

계획대지는 여느 택지지구 처럼 이웃 건물 사이에 끼이며 비좁게 위치한다. 프라이버시와 일조, 채광의 문제는 주변 밀도가 높은 택지에서는 언제나 목마른 것이다. 우리는 이런 최소의 조건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매력적인 디자인>과 <실용적인 공간성>을 가진 택지지구의 유쾌한 다가구주택을 계획하고자 했다.

위       치 : 고양시 일산동구
용       도 : 다가구주택 (원룸6+주인1)
대지 면적 : 235.9㎡ (71PY)
연  면  적 : 379.4㎡(42PY)
규       모 : 지상3층
층별 면적 : 1층 (94.62㎡ (29PY)) / 2층 (139.02 ㎡ (42PY)) / 3층 (130.44㎡ (40PY))

내외부 열린공간을 중심으로한 공간구성

‘우유팩’이라는 유쾌한 컨셉으로 시작된 이 집은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스타일 반영과 함께 이상적인 쾌적함을 지닌 주거공간을 이루기 위한 가능성을 찾아 고민한 결과이다. 택지지구의 고질적인 이슈인 이웃주택 간 프라이버시 간섭과 채광 확보라는 근본적이고 당연한 문제의 해결은 공간구성의 시발점이 된다.

diagram

우유팩 모양은 기능에 의해 형성된다.
두 개의 우유팩 매스처럼 느껴지는 건물의 구성은 주인세대의 핵심 실내공간인 중정과 각 임대세대의 양호한 배치를 종합한 결과로 이루어진다. ‘ㄱ자형’ 배치를 통해 남측에 확보된 ‘외부의 열린공간’은 주차장과 진입로가 계획된다.

elevation

임대세대의 주차편의성을 위해 이웃 주택과 비견되는 7대를 수용하는 주차장은 한가로운 낮에는 밀크하우스의 잔디마당의 역할을 맡는다. 주차공간과 명확히 구분된 진입로는 주차된 차량으로 인한 진입의 어려움을 구분하며 밀크하우스로의 편안한 진입공간이 되어준다.

빛을 들이는 로비와 계단실
1층의 주 진입구에서 계단에 이르는 복도공간은 로비다운 위계가 느껴지도록 했다. 로비의 큰 창을 통해 채광과 수목을 보여주어 어둡고 좁기만 했던 기존 다가구주택과 차별화된다.

현관. 짧은 통경축이지만 하루를 마친 귀가에 여유로움을 만든다.

계단실. 계단실은 채광이 약한 북서쪽에 배치했다.
창은 주변건물 창호에 중첩되지 않고, 충분한 밝기를 위해 여러 곳에 내었다.

쾌적한 임대세대 공간만들기.
건축주는 본인의 삶과 동시에 이웃이 될 임대인들도 모두 행복할 수 있는 만족스런 집을 생각했다. 임대세대의 각 층에는 별도의 설비실을 마련해 무분별한 실외기, 보일러의 벽면 돌출과 실내에서의 소음, 진동, 매연을 제어했다. 2층 각 세대는 1~2인 세대가 선호하는 오피스텔 등의 트랜드를 반영해 침실과 거실주방이 분리된 1.5룸의 공간구성으로 되었다. 1층은 투룸세대와 원룸세대로 구분된다.

1층 평면.
1층은 원룸과 투룸 각 1세대씩 계획되었다. 1층 각 세대의 주요 창들은 <전면도로 보행자의 시선>과 <주차차량의 조명>을 고려하여 넓고 긴 고측창으로 계획하여 프라이버시와 쾌적성을 확보했다.

2층 평면.
2층은 1.5룸의 4세대로 구성된다. 전체 <건축면적 활용>과 <임대면적 배분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두 가지 평형별로 구성하였고, 쾌적한 주거환경이 되도록 각 세대는 주 생활공간과 침실을 분리한 주거공간을 계획했다. 1,2층은 각각<설비집중공간>을 통해 실외기, 보일러의 <소음과 진동>이 주거공간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동시에 설비 시설 및 배관이 외벽에 무분별하게 노출되지 않도록 했다.

이웃건물을 고려한 열어둘 수 있는 창 만들기.

elevation

각 세대의 주요 창들은 실질적인 활용 차원에서 접근했다. 택지지구에는 이웃집 시선이 부담스러워 종일 커튼을 쳐놓거나 보안 때문에 열지 않는 의미 없는 창들이 즐비하다. 열어 놓기에는 너무 가까운 이웃집 창의 위치들을 고려해 주요 창들은 옆집과의 충분한 이격거리가 확보되는 대지의 외부오픈스페이스 면에 집중시켰다. 간섭이 예상되는 전면도로 등의 면은 극단적으로 최소화하거나 기능창으로 제한했다. 1층 세대는 야간의 주차라이트 및 도로보행자의 눈높이와 부족한 채광량을 고려해 천정에 면한 넓은 고측창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주인세대의 내부는 거실, 부엌, 욕실 등 주요 공간 구석구석 온화한 채광을 분배하는 ‘소형중정’이 중심이 된다. 이는 눈부신 직사광선보다는 은은한 반사광을 선호하는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외부마당을 갖기 힘든 다가구주택에 비와, 눈 그리고 바람을 보이고 들여서 개방감과 함께 환경을 조절하는 풍요로운 공간이 되어준다.

3층은 주인세대로써 세 개의 침실과 LDK형식의 거실+주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실들을 아우르는 중심부에 <소형중정>을 두어 <채광과 환풍을 제어>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이 되도록 계획했다. 주인세대의 옥상은 취미생활 및 텃밭으로 활용된다.

주인세대는 40평이 채 되진 않지만 대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한 “ㄱ자형” 레이아웃에 더불어 그 중심에 소형 중정을 두어  내부 구석구석 온화한 채광을 분배한다.

중정. 건물의 중심공간인 중정은 작지만 존재의 가치는 매우 크다.
직사광선의 유입 시간대는 블라인드를 통하여 빛의 유입을 조절한다.

거실 – 중정 – 욕실 오픈 시퀀스. 통경은 집을 더욱 넓고 풍요롭게 만든다.

욕실. 중정을 통해 주변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아도 되는 밝은 욕실.

주인부부의 고양이 사랑은 삶의 일부이다.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고양이들의 생활도 염두 한 공간이 되어야 했다.

밀크하우스는 아래의 매체에 소개되었습니다.
인테리어전문잡지 <MARU마루 201호>
네이버리빙 <주택인테리어 시리즈>